[뉴스프리즘] 생활 곳곳 파고드는 AI…전세계 경쟁 속 우리나라는<br />[명품리포트 맥]<br /><br />▶ 안면인식 접수에 수술 추천까지…영역 넓히는 AI<br /><br />외래진료를 위해 대기하는 사람들.<br /><br />접수 창구에서부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.<br /><br />경기도의 한 대학병원에서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계에 얼굴을 갖다 대자 1초도 안돼 접수가 끝납니다.<br /><br />1층에서 안면 인식만 하면 본인이 예약한 진료과에 자동으로 알람이 갑니다.<br /><br />AI 기술입니다.<br /><br /> "접수하고 저희가 가는 과를 가서 왔다고 알려줘야 되고 2층이나 3층에 올라갔다 다시 내려와서…안면 인식을 하면서부터는 바쁘게 재촉하지 않으니까…"<br /><br />병원에도 이득입니다.<br /><br /> "환자분들이 병원을 찾아 빨리 진료를 보고 가셔야 환자 순환도 빨리 될 수 있고…"<br /><br />의료 분야에서는 이미 AI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요로결석 치료를 위해선 몸 속에 생긴 돌을 깨는 방법과 빼내는 방법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의사는 데이터를 분석해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왔는데 이제는 클릭만 하면 수술 방법과 성공률을 알려줍니다.<br /><br /> "나이, 성별, 결석의 위치, 강도…이런 것들을 연계해서 입력하게 되면 체외충격파를 했을 때 (성공률이) 98% 정도…"<br /><br />우리 일상 생활 속에는 이미 AI의 도움을 받는 것들이 상당히 많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너무 익숙하다 보니 우리가 느끼지 못했던 것 뿐입니다.<br /><br /> "집에서, 차에서, 수많은 모바일앱에서 이미 AI가 들어와 있고. AI는 예측해서 추천을 해주는 기술이라고 이해하시면…"<br /><br />카카오택시나 내비게이션, 유튜브 영상 추천까지, 모두 AI 기술이 적용된 겁니다.<br /><br />AI가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한다는 우려도 있지만 단편적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어떤 요인들이 중요한지를 결정하는 건 결국 AI가 아니라 인간이거든요. AI가 일을 하긴 하지만 근본에는 인간의 지식이라든가 인간의 경험이 들어가 있는거죠."<br /><br />갈수록 진화하는 AI,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꿔놓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.<br /><br />▶ 체스부터 토론까지…'인간 vs AI' 성적은?<br /><br />AI가 인간에게 처음 도전한 건 체스였습니다.<br /><br />1956년 미국 다트머스대학에서 열린 회의에서 AI란 말을 처음 쓴 존 매카시 교수는 AI가 인간이 풀지 못하는 어려운 연산을 해낼 거라 예고합니다.<br /><br />머리로는 풀기 힘든 복잡한 계산을 해낸다는 건데, 이는 복잡한 경우의 수를 계산해야 하는 체스의 알고리즘과 일맥상통했고, 결국 AI가 체스로 인간과 맞붙게 됩니다.<br /><br />1996년 IBM의 슈퍼 컴퓨터 '딥 블루'가 세계 체스 챔피언 게리 카스파로프와 맞붙었는데, 당시 챔피언이 4대2로 이겼지만 이듬해 대결에선 무릎을 꿇었습니다.<br /><br />체스보다 경우의 수가 더 많은 바둑에서도 AI는 인간에 한 발 앞섰습니다.<br /><br />2016년 이세돌은 구글 딥마인드의 '알파고'와의 대결에서 돌을 던졌고, 올해 토종 AI '한돌'의 벽도 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AI의 도전은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걸 넘어 퀴즈로까지 이어집니다.<br /><br />2011년에 IBM의 초대 회장 이름을 딴 인공지능 컴퓨터 '왓슨'이 미국의 유명 퀴즈 프로그램인 '제퍼디 쇼'에 출연해 인간 챔피언들을 꺾고 100만 달러의 상금을 차지했습니다.<br /><br />IBM은 이 결과를 토대로 토론의 영역에도 도전합니다.<br /><br />AI 컴퓨터에 100억개의 문장을 기반으로 지식을 쌓게 하는 등 철저한 준비를 거친 끝에, IBM 연례 기술 콘퍼런스인 '싱크(Think) 2019' 이벤트에서 2012년 유럽 토론 챔피언인 해리시 나타라얀과 대결을 벌였습니다.<br /><br />유치원에 국가 보조금을 지원해야 하는지를 주제로 치열한 논리 공방을 주고 받았습니다.<br /><br />AI가 졌지만 잠재력은 인정받았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AI가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면서, 일각에선 곧 AI가 인간을 뛰어넘을 거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'승부'의 관점에서만 볼 건 아니라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 "AI라는 것은 우리의 적도 아니고, 우리가 만든 도구잖아요. 우리가 스마트폰에 졌다, 자동차에 졌다, 이런 말을 하지 않죠."<br /><br />AI가 인간의 '대체제'가 아니라 인간을 위한 '보완제'가 되도록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▶ 세계는 지금 AI 경쟁…한국 어디까지 왔나<br /><br />우리나라 토종 AI '한돌'의 승리로 끝난 이세돌 9단의 은퇴 경기.<br /><br />이세돌 9단이 남긴 말은 의미심장합니다.<br /><br /> "(한돌이) 전체적으로 봤을 때 중국의 인공지능 '절예'보다는 아직은 조금 부족하다…"<br /><br />국내 AI 기술은 어느 수준일까.<br /><br />미국을 100이라고 했을 때, 유럽이 90으로 미국을 추격하고 있고, 한국은 중국과 일본의 뒤를 이어 세계 5위권으로 평가받습니다.<br /><br /> "전 세계적으로 보면 5~10위 안에 있다고 보고 있고, 특수한 분야에 있어서는 세계 선두에 들어가는 부분도 있습니다."<br /><br />세계 각국의 AI 발전 속도를 볼 때 마냥 안심할 수만은 없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이웃나라 중국은 그야말로 파죽지세입니다.<br /><br />중국 AI 인력 규모는 세계 2위에 올라 있고, AI 관련 논문 발행 건수는 미국까지 제쳤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는 아직 갈 길이 멉니다.<br /><br />향후 AI 기술 발전 가능성을 말해주는 지표인 최고급 연구 인력은 405명으로 미국의 4%, 중국의 6분의 1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벤처투자도 아직 1,000억원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AI가 미래의 핵심 성장 동력인 만큼 학계와 정부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학에서는 이미 AI 연구를 전담하는 조직이 속속 생겨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AI는 기술이기도 하지만 사회 변혁의 원동력이 되는 큰 힘을 갖고 있기 때문에…AI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·연구·산업협동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기 위해서…"<br /><br />정부는 'AI 국가전략'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전문 인력 양성...